방송 음질을 위한 배경 소음 제거 & 필터 설정법

반응형

방송 송출 프로그램에 음성 필터를 넣는 모습

스트리밍을 하다 보면, 아무리 좋은 마이크를 써도 청취자들이 "소음이 거슬려요"라고 할 때가 있습니다. 처음엔 마이크가 문제라고 생각했지만, 사실 그 원인은 배경 소음필터 미설정에 있었죠. 저 역시 에어컨 소리, 키보드 타건음, 그리고 멀리서 들려오는 TV 소리까지... 여러 번 클립에서 소음 때문에 콘텐츠를 날려버린 적이 있었거든요.

이번 글에서는 OBS의 노이즈 억제 기능, RNNoise와 Speex 설정부터 Noise Gate, Expander 필터까지 실제로 방송에 적용 가능한 소음 제거 및 필터 설정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소음 문제로 인해 방송 품질에 한계를 느끼고 있다면, 이 글이 그 돌파구가 되어줄 겁니다.

🔇 물리적 배경 소음 줄이기 팁

디지털 필터를 적용하기 전에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물리적인 소음 제거입니다. 기초적인 환경 설정만으로도 소음량은 40~50% 가까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 🚪 문과 창문을 닫아 외부 소리 차단
  • 🪟 방음 커튼 또는 두꺼운 천으로 벽면 반사음 감소
  • 🖥️ PC 팬 또는 노트북 쿨링팬의 소리 → 팬 컨트롤 프로그램 활용
  • 🧼 책상 주변 정리로 키보드, 마우스 진동 소리 최소화
  • 📍 마이크 진동 방지를 위한 쇽마운트 사용

방송 중 들리는 지속적인 저주파 소음(허밍)은 보통 전원 노이즈 또는 마이크 케이블 접촉 불량이 원인입니다. USB 포트를 바꾸거나, XLR 케이블의 품질을 점검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 OBS 노이즈 억제 필터 설정 (Speex, RNNoise)

OBS에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노이즈 억제 필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특징과 차이를 이해하면 방송 환경에 맞는 최적의 선택이 가능합니다.

기능 Speex RNNoise
기반 기술 전통적인 노이즈 억제 AI 기반 신경망 처리
설정 가능 항목 억제 수준(0~100) 설정 없음 (자동화)
CPU 사용량 낮음 중간~높음
음성 자연스러움 보통 (압축감 존재) 우수
  • 🎯 Speex는 구형 PC나 노트북에 적합하며, 억제 강도를 조정할 수 있음
  • 💡 RNNoise는 고성능 CPU에 권장되며 음질이 매우 자연스러움

둘 중 하나를 선택하여 마이크 필터에 적용하고, 실제로 소음 억제가 잘 되는지 테스트 녹음을 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Noise Gate vs Expander 차이점

스트리밍 환경에서 소음을 제어할 때 Noise Gate와 Expander는 매우 유용한 필터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용자들이 이 두 가지의 기능을 혼동하거나 동시에 사용할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곤 합니다.

  • 🚪 Noise Gate: 특정 볼륨 이하의 소리를 완전히 차단
  • 🧩 Expander: 소리를 완전히 차단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감소
  • 🎯 둘 모두 '작은 소리'를 처리하지만, 감성 차원에서 Expander는 훨씬 부드러운 음량 변화 제공

실제 방송에서 무음 처리가 뚝뚝 끊기듯 들리는 경우라면 Noise Gate 대신 Expander를 사용하거나, 두 필터를 조합하여 보다 세련된 음질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 추천 필터 설정값 예시

모든 방송 환경이 동일할 수는 없지만, 아래는 일반적인 홈 방송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OBS 필터 설정 예시입니다. 시작점으로 삼고 방송 중 튜닝하는 것이 좋습니다.

필터명 설정값 예시 설명
Noise Suppression (RNNoise) AI 기반 자동 에어컨, 키보드 소리 등 억제
Expander Threshold: -35dB
Ratio: 4:1
부드러운 배경 소음 감소
Noise Gate Close: -32dB
Open: -26dB
무음 상태에서 완전 차단
Compressor Ratio: 3:1
Threshold: -18dB
큰 소리를 부드럽게 압축

🎯 다양한 필터 조합 팁

  • 🔧 기본 조합: Noise Suppression → Expander → Compressor → Limiter
  • 🧪 고급 조합: RNNoise → Expander → Noise Gate → Compressor → EQ → Limiter
  • 💡 필터 순서에 따라 음질 차이가 큼 → 항상 순서 테스트 필요
  • 🎧 Headset 마이크는 필터를 적게, 콘덴서 마이크는 필터를 다층 적용 추천

🔌 오디오 인터페이스란 무엇인가?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 컴퓨터로 전송하는 장치입니다. USB 마이크는 내부적으로 이러한 변환을 자동 처리하지만, XLR 마이크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죠.

  • 🎚 마이크 게인(입력 강도) 직접 조절 가능
  • 🎧 지연 없는 모니터링(Zero latency monitoring)
  • 🔌 48V 팬텀 전원 공급으로 콘덴서 마이크 사용 가능
  • 🔉 더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와 세밀한 음질 확보

단순한 전송만이 아닌, 음질을 완전히 새로운 레벨로 끌어올릴 수 있는 핵심 장비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오디오 인터페이스 기본 세팅

인터페이스 설치 후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세팅은 다음과 같습니다.

설정 항목 권장 값 / 설정 방법
입력 게인(Gain) 녹색 LED 레벨 유지, 클리핑(빨간불) 방지
팬텀 전원(48V) 콘덴서 마이크 사용 시 반드시 ON
다이렉트 모니터링 지연 없는 녹음 모니터링에 유용 (ON 권장)
출력 볼륨 헤드폰 또는 스피커에 맞춰 조정

이후 시스템의 기본 녹음 장치를 인터페이스로 지정해야 방송 소프트웨어에서 인식됩니다.

🎙️ OBS에서 인터페이스 라우팅 설정

인터페이스를 설치했다고 해서 자동으로 OBS에서 인식되진 않습니다. 입력 장치와 채널 설정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1. OBS > 오디오 설정 > 마이크 입력을 인터페이스 장치로 설정
  2. 1번 입력(보통 마이크 채널)을 선택
  3. 모노 채널 문제 시 '오디오 고급 설정'에서 스테레오 → 모노 믹싱 체크
  4. 라우팅 소프트웨어(예: Voicemeeter) 사용 시 가상 오디오 입력 설정 필요

또한, 인터페이스에 따라 스테레오로만 입력을 받는 경우가 있으므로 반드시 OBS에서 채널 확인을 먼저 해야 합니다.

🖥️ ASIO 드라이버와 버퍼 설정

고급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대부분 ASIO 드라이버를 제공합니다. 이는 일반 Windows 오디오보다 지연 시간이 짧고 안정적인 오디오 처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 🎯 ASIO 드라이버 설치 후, 설정 창에서 버퍼 사이즈 조정
  • 🎧 버퍼 사이즈: 128~256 샘플 → 실시간 방송 적합
  • 🔊 DAW나 OBS와 병행 사용 시 512 이상도 가능 (더 안정적)
  • ❗ CPU 사용량과 지연 시간은 반비례 → 적절한 타협 필요

OBS는 기본적으로 WASAPI 기반이지만, ASIO 플러그인(ASIO Plugin for OBS)을 설치하면 직접 ASIO 드라이버를 통해 오디오를 받아올 수 있어 지연 없는 고음질 세팅이 가능합니다.

수많은 모델 중 스트리머와 1인 방송에 적합한 장비를 엄선해 소개합니다.

모델명 특징 대상 사용자
Focusrite Scarlett 2i2 직관적 UI, 안정적인 드라이버, 2채널 입력 초보자~중급자
Elgato Wave XLR 스트리머 전용, 소프트웨어 믹서 내장 1인 방송 / 게이머
SSL2 클래스 A 프리앰프, 전문가급 품질 고급 사용자
GoXLR Mini 하드웨어 이펙터 포함, 버튼 매핑 가능 라이브 스트리머 / DJ

예산, 사용 목적, 연결 방식에 따라 달라지니 장비 선택 시 입력 채널 수, 소프트웨어 지원 여부, 드라이버 호환성을 반드시 체크하세요.

 

결국 중요한 건 방송 환경에 따라 맞춤 설정을 하되, 항상 테스트 녹음으로 사전 점검하는 습관입니다.

RNNoise는 모든 마이크에서 효과적인가요?
대부분의 마이크에서 효과적이지만, 노이즈 자체가 마이크 내부에서 발생하거나 전기적 노이즈라면 RNNoise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Noise Gate와 Expander를 같이 써도 되나요?
네, 두 필터를 병행하면 보다 정밀한 배경 소리 제어가 가능합니다. 단, 설정 값이 충돌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필터 적용 순서가 중요하나요?
매우 중요합니다. 잘못된 순서는 필터 효과를 무력화하거나 음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노이즈 제거 후 음성이 뭉개져요. 어떻게 하죠?
노이즈 억제 강도를 낮추고, Expander를 조정하거나 RNNoise 대신 Speex로 교체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방송마다 필터 설정을 바꿔야 하나요?
환경이 크게 바뀌지 않는다면 고정된 필터 세팅을 사용해도 됩니다. 단, 외부 소음이 달라질 경우 미세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USB 오디오 인터페이스와 USB 마이크의 차이는 뭔가요?
USB 마이크는 인터페이스가 내장된 일체형 장치이며,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XLR 마이크 등 다양한 장비를 연결할 수 있는 확장성이 있습니다.
ASIO 드라이버가 꼭 필요한가요?
실시간 음성 처리와 지연 없는 모니터링이 필요한 경우 ASIO 드라이버는 사실상 필수입니다. 특히 OBS에서 플러그인을 통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OBS에 마이크가 한 쪽(좌/우)만 들려요. 어떻게 하죠?
OBS 오디오 고급 설정에서 해당 입력을 ‘모노’로 변경해 보세요. 대부분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기본적으로 한 채널만 사용되기 때문에 필요합니다.
인터페이스에 EQ나 리버브 기능이 있으면 더 좋은가요?
기본적으로 사운드 품질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실시간 음성 보정이 필요한 경우 유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방송용으로는 OBS 내 필터 활용이 더 효율적입니다.
모니터링 중 제 목소리가 늦게 들려요. 해결법은?
‘다이렉트 모니터링’ 기능이 꺼져 있거나 버퍼 사이

USB 마이크에서 XLR 기반 오디오 시스템으로의 전환은, 단순한 장비 업그레이드 그 이상입니다. 사운드 퀄리티, 방송 품격, 그리고 청취자 경험 전반에 걸쳐 눈에 띄는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이 여러분이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도입하고 제대로 설정하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앞선 글들과 함께 본 시리즈를 모두 참고하신다면, 당신의 방송 사운드가 “초보”에서 “전문가급”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겁니다. 

반응형